후쿠시마 같은 사고날 경우 2492조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10030600035&code=610103
고리가 후쿠시마보다 41배 더 위험하다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709150600105&code=920100
어떤 에너지 미래 만들 것인가 / 윤순진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9142043005&code=990100
'값싼 원전' 댓가, 넘치는 핵 쓰레기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708132240015&code=920501
민주주의와 에너지 전환 /양이원영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7192134005&code=990303
1986년 4월 발생한 체르노빌 원자로 폭발 사고로 인해 “20년 동안 사망한 사람은 98만 명에 달한다”는 뉴욕과학아카데미의 보고서(2009년)가 나왔다. 2011년 3월에는 후쿠시마 핵발전소가 폭발하여 “어쩌면 일본 국토의 삼분의 일이 방사능오염 때문에 인간다운 삶터로서의 적합성을 상실할지도 모른다”고 염려하게 된 상황이다. 그러나 한국의 핵발전 지지율은 64%에 달해 중국에 이어 세계 최고 수준이다.
체르노빌 사고 당시 방사능 화산이 폭발한 것과 같았다. 바람이 북동풍으로 바뀌어 독가스 구름이 모스크바 뱡향을 향하게 되자 정부 최고위층에서는 그 구름이 중간에서 비가 되어 내리도록 강우 조치를 취했고, 브리얀스크 지역은 때아닌 폭우로 인해 방사능에 젖어들었다. 노보치브코프 시민들은 아무것도 모른 채 가장 큰 피해를 보게 된 연유였다.
체르노빌에는 지금도 암에 걸린 아이들이 병원에서 죽어가고 있으며, 부모들은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자신들에게 정보를 알려주고 대피시키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핵발전소를 계속해서 건설하는 정부가 그 재앙과 고통에서 아무것도 배우지 못했다는 사실이 가장 견디기 힘들기 때문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인들은 자신들이 겪은 고통을 자녀들에게는 물려주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경제적인 기적을 이루었고 풍요하고 안전한 생활기반을 마련해주었지만, 조애나 메이시에 따르면, 전후 세대는 결코 부모 세대를 용서할 수 없었다.(Pass It On: Five Stories That Can Change the World, 2010, p. 46)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재앙을 두눈으로 똑똑히 보면서도 핵발전소를 계속해서 건설하며 그것도 불량부품으로 건설하는 우리 세대를 우리의 다음 세대들은 결코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
원전 위험 인구밀도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612262144015&code=920100
원전 옆, 최고 8.3 지진 올 수 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9220600075&code=940100
원전 5km에 활성단층보고서, 쉬쉬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9220600035&code=940100
루비콘 강 건넌 한반도 비핵화 /이병철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9122112015&code=990303
탈핵후보 19명 국회 입성, 찬핵후보 13명도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604141105001&code=920501&med=khan
핵발전, 늘이는 정부와 줄이는 지자체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code=990303&artid=201507122122565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470176.html
박근혜 이명박의 원전 확대 정책 - 현재 23기, 2027년까지 11기, 추가로 7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10419.html
원전 비중 29%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6642090&sid1=001
핵발전소 폭발만 남았는가? / 홍성태
http://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3199.html
고리원전 사고 때 85만 명 암으로 사망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533926.html
한국, 일본 후쿠시마보다 위험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530183.html
조밀하게 저장해도 10년 후에는 저장할 곳 없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14531.html
원전 납품비리 적발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531203.html
탈핵시장의 매력 / 정연미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532758.html
살얼음판 위의 세계 / 이계삼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535548.html
밀양의 전쟁, 신고리 원전 안 늘리면 다 해결된다 - 지역별 전력 발전량 및 수요량 2011년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548603.html
원전 해체 비용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09983.html
에너지 제로 패시브 하우스 - 홍천군 살둔마을
http://m.khan.co.kr/view.html?artid=201205181941265&code=100203
일본 태양광발전용량, 원전 12기에 해당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8312237455&code=970203
http://eco-center.org/zbxe/70972
지식경제부의 제5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2010-2024)